시편 23편의 히브리 문학적 특성-‘동사’를 중심으로
동사로 숨 쉬는 시편 23편: 움직임으로 말하는 하나님의 시
시편 23편은 단지 읽히는 시가 아니다. 그것은 숨 쉬고, 걸으며, 싸우고, 누이며, 끝내 초대하는, 행동하는 시이다. 이 짧은 여섯 절 속에서 사용된 동사들은 마치 실크 같은 문장들 사이로 삽입된 신성한 움직임의 물결처럼 기능한다. 시인은 하나님의 본성을 철학적으로 서술하는 대신, ‘무엇을 하시는 분인가’로 답한다. 히브리 시는 늘 그랬듯 정태적 개념보다는 동적 실재를 강조한다. 시편 23편은 그 전형이다.
누이시며(시 23:2) — 안식의 해방, 눕히는 하나님
“그가 나를 푸른 풀밭에 누이시며” (시 23:2). ‘누이시며’는 히브리어 “야르비츠”로, 능동적이면서도 강한 의도를 가진 동사다. 이 동사는 ‘억지로 눕힌다’는 느낌보다는, 심리적 해방의 완성, 곧 “그분이 나를 눕게 하셔도 나는 저항하지 않는다”는 깊은 신뢰를 내포한다. 이 눕힘은 안락한 침대가 아니라, 불안한 생존 본능을 잠재운 완전한 안식의 상징이다.
이 눕힘은 단순한 동작이 아니라, 하나님이 창조 세계 안에 조성하시는 ‘샬롬의 기후’이다. 풀밭이 푸르러야 누울 수 있고, 양은 안전해야만 눕는다. 따라서 이 동사는 하나님의 공간적 주권과 내면적 안정감이 동시에 깃든 시적 절정을 상징한다.
인도하시는도다(시 23:2) — 순례의 동행, 방향의 하나님
“쉴만한 물가로 인도하시는도다” (시 23:2). 여기서 ‘인도하시다’는 동사 “나할”은 단순한 길 안내가 아니다. 이는 마치 성소로 이끄는 제사장의 손, 광야에서 만나를 내려놓는 하나님의 손처럼 정서적 연민이 가득한 인도이다.
이 인도는 목적지가 분명한 여정이다. 하나님은 방황하게 하지 않으신다. 이 동사는 움직이는 발걸음이 아니라, 마음의 흐름까지 동반하는 임재의 이동성을 가리킨다. 인도하시는 하나님은 단지 선두에 계신 분이 아니라, 손을 잡고 함께 걷는 하나님-동행자이다.
소생시키시고(시 23:3) — 숨결의 회복, 부활의 씨앗
“내 영혼을 소생시키시고” (시 23:3). ‘소생시키다’는 “슈브”라는 히브리어 동사로, 성경 전체에서 가장 신학적으로 무게감 있는 동사 중 하나다. 이 단어는 회개, 복귀, 복원, 재구성의 뜻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의 ‘소생’은 단순한 회복이 아니다. 그것은 산소가 다시 폐에 들어오는 것 같은 생명의 재부여, 곧 미세한 부활의 기운이다. 이 동사는 절망 끝에서 인간을 붙드시는 창조적 재호흡의 하나님을 드러낸다. 시편 기자는 하나님이 단지 고통을 덜어주는 분이 아니라, 고통 속에 새로운 길을 터뜨리시는 분이라고 믿는다.
인도하시는도다(시 23:3) — 의의 도정, 계약적 이끄심
“자기 이름을 위하여 의의 길로 인도하시는도다” (시 23:3). 앞서 2절의 ‘인도’와 동일한 ‘나할’이 반복되지만, 여기서는 의의 길이라는 새로운 길목을 제시한다. 이 동사는 더 이상 푸른 풀밭의 인도가 아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언약과 이름을 걸고 행해지는 방향성 있는 행위다.
의의 길은 정서적 평안보다는 언약적 의무와 영적 방향성을 가진 도정(道程)이다. 다시 말해, 이 동사는 하나님이 우리 안에서 자신의 이름을 걸고 진리를 완성해 가시는 예언적 걷기이다. 시인은 길을 걷고 있지만, 실상은 하나님이 자신의 이름을 따라 걷고 있는 중이다.
다닐지라도(시 23:4) — 어둠의 순례, 밤의 항해자
“내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시 23:4). 히브리어 동사 “할라크”는 ‘걷다’라는 일상적인 표현이지만, 여기서는 극적으로 문맥이 반전된다. 시인은 죽음의 그늘 아래를 걷는다. 그러나 이 걷기는 단순히 발걸음을 옮긴다는 의미가 아니다. 이것은 두려움을 관통해 지나가는 순례적 행위다.
‘다닌다’는 표현 속에는 기피가 아닌 직면, 포기가 아닌 관통의 힘이 들어 있다. 이 동사는 하나님을 동반자로 인식한 자만이 감행할 수 있는 고난의 동행 선언문이다. 히브리 시는 바로 이 동사를 통해 인생의 음침한 구간조차도 하나님의 동행 앞에서는 통과의례가 될 수 있음을 노래한다.
안위하시나이다(시 23:4) — 위로가 아닌 무장
“주의 지팡이와 막대기가 나를 안위하시나이다” (시 23:4). ‘안위하다’는 번역된 히브리어 “네함”은 사실 단순한 위로의 의미를 넘어서 정서적 재무장, 믿음의 위임에 가까운 단어다. 단어 자체에 새로운 결단을 유도하는 회복의 감정이 들어 있다.
이 ‘안위’는 무력한 위로가 아니다. 그것은 지팡이와 막대기라는 상징적 도구를 통해 전해지는 보호의 선언이다. 히브리 시에서 도구적 이미지와 감정이 하나로 엮여 쓰이는 경우, 시적 내러티브의 ‘감정적 톤’을 결정한다. 이 동사는 시의 분위기를 고통에서 안정으로, 불안에서 사명의식으로 이동시키는 전환점이 된다.
차려 주시고(시 23:5) — 영적 잔치의 개시
“주께서 내 원수의 목전에서 내게 상을 차려 주시고” (시 23:5). ‘차리다’는 동사 “아라크”는 군사적 뉘앙스를 담고 있다. 이는 전쟁터에서 전열을 정돈하거나, 왕의 잔치를 준비할 때 식탁을 배열하는 행위에 쓰였다. 단순히 음식이 준비된 것이 아니다. 이것은 주권자의 선언적 식탁이다.
하나님은 이 식탁을 ‘원수의 목전에서’ 배치하신다. 따라서 이 동사는 단지 섬김이 아니라, 하나님의 대적을 향한 영적 도발이자 승리의 퍼포먼스이다. 하나님은 잔치로 싸우신다. 그리고 이 싸움은 무기가 아닌 존재 자체로 이기는 전쟁이다.
따르리니(시 23:6) — 추적하시는 은혜
“내 평생에 선하심과 인자하심이 반드시 나를 따르리니” (시 23:6). 위에서 언급한 ‘라다프’는 고통을 쫓는 단어였다. 그러나 여기서의 동사는 하나님의 은혜가 우리를 추격하는 역설적 복음이다. 기다림이 아닌 추격의 은혜 — 이 동사는 복음의 주체가 사람이 아님을 다시 확인시켜 준다.
하나님은 서성이거나, 떠난 자가 아니라, 쫓아오는 자다. 복음은 인간의 수동성이 아니라, 하나님의 능동성으로 시작되고 마무리된다. 이 동사는 시편 23편 전체를 결산하는 운동의 방향성과 확신의 동사다.
살리로다(시 23:6) — 돌아감의 영속성
“내가 여호와의 집에 영원히 살리로다” (시 23:6). 이 마지막 동사는 히브리어로 “야샤브”, ‘거하다’, ‘정착하다’, ‘영속적으로 앉다’는 뜻이다. 여기서 시인의 동사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 모든 길이 끝나고, 모든 추적이 마무리되고, 이제는 머무는 자리로 초대된다.
이 ‘살리로다’는 단지 장소의 개념이 아니라, 관계의 영원성, 하나님의 임재 안에 영속적으로 정착하는 존재적 완성을 의미한다. 이것은 목적지에 이른 순례자의 마지막 숨결이자, 종말적 안식의 선언이다.
마무리
시편 23편은 동사들의 노래다. 각 동사는 정지된 진리를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성품이 인간 삶에 침투하는 장면들이다. 이 시는 ‘하나님은 누구신가’라는 질문보다 ‘하나님은 무엇을 하시는가’에 대한 실천적 대답이다. 그리고 그 모든 동사들은 결국 하나의 목적지를 향한다. 그것은 여호와의 집이며, 그분의 임재 안에서 거하는 쉼이다.
동사로 구성된 이 시편은 고백이면서도 기도이며, 찬양이면서도 회복이다. 하나님의 행동 속에서 신앙인의 영혼은 움직이며 머무르고, 쓰러지며 일어나고, 방황하며 돌아오는 여정을 경험하게 된다. 시편 23편은 ‘행동하는 하나님’을 통해 ‘걸어가는 인간’을 완성시키는 하나님의 시적 신학이다.
'성경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편 23편의 신학을 바벨론 포로 상황의 역사적‧신학적 관점 (0) | 2025.04.22 |
---|---|
시편 23편 설교 6절 아버지의 집 (0) | 2025.04.22 |
시편 23편 설교 5절 원수의 목전에서 베풀어진 식탁 (0) | 2025.04.22 |
시편 23편 설교 4절 내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0) | 2025.04.22 |
시편 23편 설교, 3절 소생시키는 여호와 하나님 (0) | 2025.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