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0

12월 마지막 주일 오후 찬양 예배 대표기도문

12월 마지막 주일 오후 찬양 예배 대표기도문찬양 받으실 하나님 아버지!하늘과 땅의 주관자 되시며, 온 만물을 말씀으로 창조하신 존귀하신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저희를 사랑하사 구원하시고, 한 해 동안 선하신 손길로 인도하신 하나님 아버지의 은혜를 이 시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저희의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항상 함께하셔서 넘치는 사랑으로 채워 주신 주님을 찬양하며, 모든 영광을 주님께 올려드립니다. 오늘 이 거룩한 자리에서 성도들과 함께 한 해를 마무리하며 주님께 찬양과 기도를 드릴 수 있도록 은혜 베풀어 주심을 감사드립니다. 주님, 우리의 예배를 기쁘게 받아주시고, 주님만이 높임을 받으시는 시간 되게 하옵소서.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저희는 지나온 시간을 돌아보며 하나님의 사랑과 인도하심을 되새깁니다. 삶.. 카테고리 없음 2024. 12. 25.

성경이 말하는 말씀을 읽으라는 명령과 방법

성경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읽으라는 명령과 방법이 글은 담임목사님이 성도들을 위해 성경을 읽는 법에 대한 강의 일부 중에서 성경 속에서 성경(말씀) 읽는 법을 알려주는 부분을 발췌하여 정리한 강의문의 일부입니다. 읽기 쉽도록 주제별로 분류하고, 정리했음을 밝힙니다.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성경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가장 귀한 선물이며, 하나님의 뜻을 알려주는 거룩한 말씀입니다. 우리는 성경을 통해 하나님의 마음을 알고, 그분의 길을 따르며,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지혜를 얻습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성경에서 "하나님의 말씀, 율법, 계명을 읽으라"는 명령과 그 방법들을 성경 구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1. 하나님의 말씀을 읽으라는 명령성경 곳곳에서 하나님은 우리에게 그분의 말씀을 읽고, 묵상하.. Book Review 2024. 12. 24.

성경 묵독과 낭독 어떻게 읽어야 할까?

성경을 읽을 때 묵독과 낭독: 각각의 의미와 선택의 지혜이 글은 목사님께서 성경을 읽는 방법으로 묵독과 낭독의 차이를 설명하고 어떻게 성경을 읽을까를 소개하는 글입니다. 논리적으로 다시 정리한 것임을 밝힙니다. 낭독과 묵독의 장단점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문서 하단의 링크글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성도 여러분,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대하는 방식은 매우 중요합니다. 성경 읽기는 단순히 텍스트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 하나님의 뜻을 깊이 깨닫고 우리의 삶에 적용하며, 영적으로 성장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성경을 읽는 방식, 즉 묵독(默讀)과 낭독(朗讀)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묵독과 낭독이 각각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상황에서 더 적합할지 차분히 말씀드리겠습니다. 1. 묵독.. 카테고리 없음 2024. 12. 24.

묵독과 낭독의 차이 장단점

묵도과 낭독묵독(默讀)과 낭독(朗讀)은 글을 읽는 방식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묵독은 소리를 내지 않고 눈으로만 글을 읽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조용히 생각하거나 정보를 신속히 흡수하는 데 사용됩니다. 묵독은 개인적이고 내면적인 독서 경험을 제공하며, 감정 표현보다는 내용 이해와 정보 처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반면, 낭독은 글을 소리 내어 읽는 행위로,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내용을 전달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낭독은 감정 표현과 리듬, 억양 등을 통해 글의 의미를 풍부하게 전달할 수 있어 청중의 감정적 공감을 이끌어내거나, 글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전달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낭독은 공동체 활동이나 교육적 상황에서 사용되며, 의사소통과 정서적 연결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요약하면.. Book Review/Book Column 2024. 12. 24.

새해 첫날 예배 대표기도문

새해 첫날 예배 대표기도문 사랑과 은혜가 충만하신 하나님 아버지,오늘 이 거룩한 날, 새해 첫 아침에 저희를 주님 앞에 불러주시고 예배의 자리로 인도해 주신 은혜에 감사와 찬송을 올립니다. 주님은 알파와 오메가요, 시작과 끝이 되시며, 역사의 주관자 되십니다. 모든 시간을 지으신 주님께서 오늘도 우리의 삶과 모든 계획을 다스리심을 믿으며, 이 예배를 통해 영광 받으시기를 소망합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우리를 지켜주시고, 때로는 고난 속에서도 주님의 선하신 손길로 인도해 주셨음을 고백합니다. 우리의 연약함과 부족함 속에서도 하나님의 신실하심은 변함없었고, 주님의 사랑은 언제나 우리를 붙들어 주셨습니다. 이 모든 것을 기억하며 감사드립니다. 새해를 맞아 저희의 마음을 주님께 올려드립니다. “보라 내가 새 일.. Christian Life/대표기도문 2024. 12. 24.

성경 목록

성경 목록창세기부터 말라기까지 한글명과 영어명을 정리한 것입니다. 창세기 (Genesis)출애굽기 (Exodus)레위기 (Leviticus)민수기 (Numbers)신명기 (Deuteronomy)여호수아 (Joshua)사사기 (Judges)룻기 (Ruth)사무엘상 (1 Samuel)사무엘하 (2 Samuel)열왕기상 (1 Kings)열왕기하 (2 Kings)역대상 (1 Chronicles)역대하 (2 Chronicles)에스라 (Ezra)느헤미야 (Nehemiah)에스더 (Esther)욥기 (Job)시편 (Psalms)잠언 (Proverbs)전도서 (Ecclesiastes)아가 (Song of Songs)이사야 (Isaiah)예레미야 (Jeremiah)예레미야 애가 (Lamentations)에스겔 (Eze.. 성경 묵상 2024. 12. 21.

에스더 요약 : 하나님의 섭리와 구원의 역사

에스더: 하나님의 섭리와 구원의 역사주제: 하나님의 숨은 손길과 백성 구원에스더서는 페르시아 제국 시대에 유다 백성을 향한 하나님의 섭리와 구원을 기록합니다. 하나님의 이름은 이 책에 명시적으로 등장하지 않지만, 모든 사건의 배후에는 하나님의 주권과 계획이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책은 에스더와 모르드개의 믿음과 용기, 하나님의 백성을 위한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강조합니다. 1. 왕후 와스디의 폐위와 에스더의 왕후 등극 (1-2장)1. 와스디의 폐위 (1장)페르시아 왕 아하수에로(크세르크세스 1세)는 180일 동안 잔치를 열고 자신의 권세와 부를 과시합니다.마지막 날, 왕은 왕후 와스디를 불러 그의 아름다움을 자랑하려 하지만, 그녀가 거절하자 왕은 분노합니다.왕의 조언자들은 와스디의 행동이 다른 여.. 성경 묵상 2024. 12. 21.

느헤미야 요약 : 성벽 재건과 공동체의 회복

느헤미야: 성벽 재건과 공동체의 회복주제: 하나님과의 언약에 따른 공동체의 회복느헤미야서는 예루살렘 성벽 재건과 이스라엘 공동체의 신앙적, 사회적 개혁을 다룹니다. 하나님의 은혜로 바벨론 포로 생활에서 돌아온 백성이 예루살렘의 물리적·영적 재건을 이루며, 하나님과의 언약을 새롭게 하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습니다.1. 느헤미야의 부름과 성벽 재건 (1-7장)1. 느헤미야의 부름 (1장)느헤미야는 페르시아 왕 아르탁사스다의 술관원이었습니다.그는 유다에서 온 소식을 듣고, 예루살렘 성벽이 여전히 무너져 있고 백성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에 깊이 슬퍼하며 금식하며 기도합니다.느헤미야는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며 성벽 재건을 결심합니다.2. 왕의 허락과 예루살렘으로의 귀환 (2장)느헤미야는 왕의 허락을 받고 예루살.. 성경 묵상 2024. 12. 21.

에스라 요약 : 성전과 신앙의 회복

에스라: 성전과 신앙의 회복주제: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백성의 회복에스라는 바벨론 포로기 이후 유다 백성이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성전을 재건하고 율법 중심의 신앙을 회복하는 과정을 기록합니다. 이 책은 두 차례에 걸친 귀환과 하나님의 신실하심, 그리고 백성의 순종과 갱신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1. 첫 번째 귀환과 성전 재건 (1-6장)1. 고레스의 칙령 (1장)페르시아 왕 고레스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유다 백성에게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성전을 재건할 것을 허락합니다.그는 성전 건축을 위한 물자와 함께 바벨론에 있던 성전 기물들을 돌려줍니다.이는 예레미야의 예언 성취로, 하나님이 포로 생활 후에도 자신의 백성을 회복시키고 계심을 보여줍니다.2. 첫 번째 귀환 (2장)스룹바벨과 예수아를 중심으로 약 5만 명의 .. 성경 묵상 2024. 12. 21.

역대상 요약 : 다윗 왕국의 기초와 하나님의 언약

역대상: 다윗 왕국의 기초와 하나님의 언약주제: 다윗 왕국과 하나님의 구속 역사역대상은 이스라엘 민족의 족보와 다윗 왕국의 설립을 중심으로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주권을 강조합니다. 성경 전체 맥락에서 이 책은 다윗 언약을 통해 메시아를 예고하며, 이스라엘의 예배와 공동체의 회복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을 보여줍니다. 1. 이스라엘의 족보와 하나님의 구속 역사 (1-9장)1. 아담부터 다윗까지의 족보 (1-3장)아담에서 아브라함까지 (1장): 역사는 아담으로 시작해 노아, 그의 아들들, 아브라함으로 이어집니다.이스라엘 민족의 기원 (2장):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와 유다 지파의 계보가 기록됩니다. 유다는 다윗 왕조와 메시아의 계보를 위해 특별히 강조됩니다.다윗의 계보 (3장): 다윗의 가문과 왕위 계승이 상세히 .. 성경 묵상 2024. 12. 21.